전남도의회 임형석 의원(오른쪽)이 16일 전남도교육청을 상대로 생존수영내실화 방안을 질의하고 있다. 전라남도의회 제공 세월호 참사 이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생존수영교육이 의무화됐지만 실제 효과로 이어지려면 교육에 필요한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남도의회 임형석 의원(민·광양1)은 16일 열린 제389회 임시회 제1차 교육위원회에서 "생존수영을 검색하면 '학교에서 생존수영하는데 수영복 뭘로 사야 하냐'는 게시물이 먼저 나온다"며 "실제 재난상황을 가정해 학생들이 생존하는 방법을 몸에 익힐 수 있게 생존수영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형석 의원이 전남도교육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남도 내 초등학교 434곳 가운데 생존수영 실기교육을 100% 이상 이수한 학교는 절반에 불과하고 이수율이 50% 이하인 초등학교가 20%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임 의원은 "상황이 이런데도 전남도교육청은 초등학교 1~2학년까지 생존수영교육을 확대하는 내용으로 추경예산안을 제출했다"며 "생존수영교육을 100% 이수하지 못한 학교들이 있는데 1~2학년까지 확대하면 이수율이 더 떨어지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전남도교육청은 "옷을 입고 신발을 신은 채로 물에 들어가야 되는데 지금 우리나라에는 (그렇게 할 수 있는 곳은) 한 곳도 없을 것"이라며 "목포해양대학교의 실외수영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자연친화적인 여건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고 이동식 수영장을 거점형으로 설치해 인근 학생들이 거기에서 생존수영을 할 수 있는 방안도 몇 년째 시행해 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형석 의원은 "생존수영교육을 이수하는 것 못지않게 생존수영을 해서 생존방법을 몸에 익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어려운 여건이지만 건의할 건 건의하고, 자체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은 개선해서 생존수영교육이 내실 있고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게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