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 노조 "노후 설비 방치가 원인"…광양제철소 추락사고 진상 규명 촉구

플랜트 노조 "노후 설비 방치가 원인"…광양제철소 추락사고 진상 규명 촉구

24일 열린 전국플랜트건설노동조합 전남동부경남서부지부 기자회견. 노조 제공 24일 열린 전국플랜트건설노동조합 전남동부경남서부지부 기자회견. 노조 제공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발생한 노동자 추락 사망 사고와 관련해 노동자들이 철저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를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플랜트건설노동조합 전남동부경남서부지부는 24일 광양제철소 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사고는 단순한 불의의 사고가 아니라, 포스코의 구조적 책임이 낳은 명백한 기업 범죄"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해당 설비는 1991년 설치돼 1996년부터 불용 설비로 방치된 상태였으며, 수십 년간 교체나 정비 없이 방치된 것이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라며 "노후 설비 방치는 기업의 살인"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 "2020년 포항제철소에서도 유사한 추락 사고가 있었지만, 포스코는 근본적 개선 없이 '위험의 외주화'와 '최저가 낙찰', '원가 절감'만을 앞세우며 하청에 책임을 떠넘기는 구조를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2016년부터 2023년까지 포스코에서 발생한 중대재해는 13건, 이로 인한 사망자는 17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76%가 하청 노동자였다"며 "포스코는 개선보다 꼬리 자르기식 책임 회피에 급급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위험성 평가와 사전 점검, 작업 허가 절차만 제대로 이뤄졌더라도 동료는 죽지 않았을 것"이라며, 사고를 막을 수 있었던 조치들이 방기됐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포스코에 ▲노후 설비 전수조사 및 전면 교체 ▲폭염기 일용직 보호 대책 수립 ▲최고경영진의 책임 인정과 공개 사과를 요구했다. 또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수립 과정에 노조 참여도 보장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광양제철소 관계자는 "노후 설비를 철저히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4일 오후 3시쯤 광양제철소 내 소결공장에서 배관 철거 작업 중 구조물이 무너지면서 근로자 2명이 약 20m 아래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1명이 숨지고, 다른 1명은 크게 다쳤다. 또 낙하물에 맞은 또 다른 근로자도 중상을 입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전남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