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국정기획위원회를 찾은 고흥군. 고흥군 제공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계획 수립을 위한 국정기획자문위원회(이하 국정기획위)의 현장 순회에서 광양이 제외됐지만, 지자체나 지역 정치권이 이렇다 할 대응도 하지 않아 정치력 부재를 드러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국정기획위는 이달 초 강원권(강릉·춘천·양구)을 시작으로 호남권(목포·순천), 전북권(군산) 등을 돌며 지역 현안을 수렴 중이다. 전남 동부권에서는 지난 9일 순천, 10일 구례를 각각 방문했다.
순천시는 이번 방문을 계기로 ▲미래 농생명·식품 거점 K-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경전선·전라선 초광역 철도교통망 확충 ▲국립순천대–국립목포대 통합 의과대학 설립 ▲세계유니버시아드 유치 지원 등 주요 현안을 적극 건의했다.
여수시는 애초 방문 대상이 아니었지만, 최정기 부시장이 위원회를 직접 찾아가 14건의 지역 현안을 설명하고 국정과제 반영을 요청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했다. 위원회 분과위원들과 지역 국회의원실에도 관련 자료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흥군 역시 공영민 군수가 15일 국정기획위와 국회를 찾아가 우주선 철도 건설, 광주~고흥 고속도로 건설 등 핵심 과제를 제안했다.
반면 광양시는 현안이 산적한 상황임에도 국정기획위 방문 대상에서 제외된 이후 별다른 대응이 없었다. 이차전지 원료소재 국가첨단전략산업 지정, 수소환원제철 전환 실증 설비 지원, 소부장 특화단지 추가 지정, 광양항 스마트 항만 구축 등 주요 산업 및 물류 전략과 맞닿은 공약 23건을 정리해둔 상태지만, 이를 전달하기 위한 외부 접촉이나 후속 조치는 이뤄지지 않았다.
광양시 서울사무소 관계자는 "전남 지역 방문 일정이 있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국정기획위에 공식적으로 방문 요청을 하거나 접촉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여기에 더해 지역 국회의원의 존재감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권향엽 의원의 다른 지역구인 구례는 국정기획위 방문 대상에 포함됐지만, 정작 광양은 제외됐다.
의원실 관계자는 "위원회 방문은 온라인 국민소통 플랫폼 '모두의 광장'에 접수된 민원을 바탕으로 내부 기준에 따라 결정됐다"며 "광양 관련한 별도 요청을 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무소속인 노관규 순천시장이 국정기획위 방문 시점에 발맞춰 현안을 강하게 어필한 것과 달리, 여당 소속인 광양시장과 국회의원은 전략적 대응에서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지역 정치권의 존재감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국정기획위가 오지 않는다고 가만히 있을 게 아니라, 어떤 기회라도 활용해 안건을 올릴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광양처럼 현안이 많은 도시일수록 더 전략적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